h는 해쉬함수이다. 키 K는 U에 존재하는 값들 중 하나이고 h(K) 를 (해쉬 함수 를 적용하여) T 배열 인덱스에 값을 저장한다. X%M M은 T : 테이블의 크기 로 나누어서 저장을 한다. 해쉬 테이블의 배열에 저장을한다. U는 양의 정수들의 집합이다. 보통 h(k) 해쉬함수이고 보통 U에 위치한 k (키값)을 m 해쉬 테이블의 크기로 나누는 함수가 있는 데 실무에서는 이렇게 단순하게 적용되지 않는다. 일반적으로 해쉬함수는 단사함수가 아니다. 일대일 함수라고 생각하면 된다. 무조건 충돌이 일어난다. 키값이 같다. 서로 다른 두 키에 대해서 h (해싱)을 적용한 게 같다. 키값이 m(오른쪽에 적용되는 대상) 보다 많으면 당연히 발생한다. 해쉬의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은 chainin..